
척추관 협착증, 무엇인가요?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은 우리 몸의 중심 축인 척추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척추 내부의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과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우리 척추는 척추뼈(척추체)와 그 사이에 있는 디스크(추간판),
그리고 척추뼈를 이어주는 후관절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척추뼈들이 쌓여 만들어진 기둥 안에는 뇌에서부터 다리로 내려가는 중요한 신경 다발인 척수(spinal cord)와
그 가지들(신경근)이 지나가는데, 이 통로가 바로 척추관(spinal canal)입니다.
✅척추관 협착증 원인
척추관 협착증은 주로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
오랜 시간 동안 척추를 사용하면서 다음과 같은 변화가 생겨 척추관이 좁아지게 됩니다.
- 뼈의 변화: 척추뼈 주변에 뼈가 자라나 덧붙는 ‘골극(뼈 가시)’이 생겨 척추관을 좁힙니다.
- 인대의 비후: 척추관을 둘러싸고 있는 인대(황색 인대 등)가 두꺼워지고 딱딱해집니다.
- 후관절의 비대: 척추뼈 뒤쪽의 후관절이 퇴행성 변화로 커지면서 신경 통로를 압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척추관이 좁아지고,
그 안에 있는 신경을 조이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주로 허리 부위(요추)에 많이 발생하며, 목 부위(경추)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
허리 통증: 허리가 뻐근하고 무거운 듯한 통증이 만성적으로 나타납니다.
엉덩이 및 다리 통증/저림/당김: 신경 압박 부위에 따라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바닥까지 저리거나 당기고,
심하면 화끈거리거나 시린 듯한 감각 이상이 나타납니다.
신경성 파행: 걸으면 걸을수록 다리 통증과 저림이 심해져서 걷기 힘들고
주저앉거나 쪼그려 앉아서 쉬어야 증상이 완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잠시 쉬었다가 다시 걸으면 또 걸을 수 있습니다. (반면, 허리 디스크는 특정 자세에서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각 이상 및 근력 약화: 심한 경우 감각이 둔해지거나 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배변/배뇨 장애: 매우 드물지만, 신경 압박이 심해지면 대소변 기능에 이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협착증 치료
허리 통증은 전혀 없는데 걸을때 다리가 아프다고 내원하는 경우중에
협착증이 원인인 경우도 많은데 다리 치료를 아무리 해도 호전이 없기도 합니다.
척추를 회복시키고 긴장을 줄여주는 침치료, 약침치료, 한약치료 등을 통해 다리 통증이 줄어들게 됩니다.
협착증의 증상은 척추를 포함한 전신의 구조적인 문제와도 관련이 많고
기능저하를 동반한 전신염증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통증 감소외에도 전신의 기능 회복을 위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협착증 진단을 받은 상태라면 이미 진행이 많이 되어 있기 때문에
치료나 관리가 장기간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증상의 완화에도 시간이 걸리지만 반복되는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해서 좀 덜해진다고 치료를 멈추게 되면 다시 아파지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